진화 과정에서 생물은 주위 환경의 여러 가지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민감하게 포착하여 이들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온갖 다수의 생물학적 구조, 적응 장치를 만들었다. 온갖 다수의 자극을 수용하는 이들 장치는 생물공학자나 기상 예보관에게는 대단한 관심의 대상이다. 가축의 행동을 오랫동안 일상적으로 관찰을 한 결과로써 사용되는 속담류에서도 그들의 연구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것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중에 몇 개를 소개해 보자.
- 말이 코를 킁킁거리면 날씨가 나빠지고, 머리를 흔들며 하늘을 쳐다보면 비가 내린다. 또 말이 땅바닥에 옆으로 눕게 되면 여름에는 비가, 겨울에는 눈이 내린다.
- 개가 자꾸만 땅을 파면 비가 내리고 이리저리 마구 뛰어다니면 날씨가 나빠져서 눈이 내린다. 또 개가 웅크리고 있으면 추워지고 몸을 쭉 펴서 뒹굴면 날씨가 따뜻하게 된다.
- 고양이가 얼굴을 씻고 발을 핥으면 맑은 날씨가 되고, 얼굴을 감추면 추워지거나 날씨가 나빠진다. 또 고양이가 난로곁에 웅크리고 있으면 곧 날이 풀린다.
- 오리가 수면을 날개로 치면서 쉬지 않고 자맥질을 하면 비가 온다.
- 혹독한 한파 속에서 칠면조가 울면 따뜻한 바람이 분다.
역시 식물도 기온, 기압, 대기와 토양의 습도, 태양의 조사량의 변화에 대해서 동물과 마찬가지로 민감하다. 몇 개의 식물의 행동에서 장기 일기예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작나무가 호두나무보다 빨리 새잎이 나오는 해는 여름 날씨가 좋다. 그러나 호두나무가 자작나무보다 빨리 새잎이 나오는 해는 여름에 찬비가 많이 내려서 흉년이 든다. 졸참나무에 도토리가 많이 열리면 그 해 겨울은 매섭게 춥다. 낭떠러지나 경사면, 또는 철도 제방의 눈석임(눈이 속으로 녹아서 스러짐)에 노란 민들에 꽃이 핀다면 3월 말이나 4월 초에는 따뜻한 날씨가 된다. 4월 초순에 풀밭이나 숲의 빈터에 벚꽃이 피면 곧 날씨가 따뜻하게 된다. 마가목 나무의 흰 꽃은 날씨가 따뜻하게 될 징조다. 봄이 되어 자작나무나 단풍나무의 수액, 즉 고로쇠나 거자수가 나오면 날씨가 안정된다. 연못, 호수, 개천의 가장 자기에 백합의 하얀 잎이 나오면 서리가 내리지 않는다.
농촌 사람들은 오랜 경험을 통해서 자연계의 다양한 변화를 일정작물의 파종시기나 이식 시기와 연결시킬 많은 징후를 이용해서 지금까지 적시에 씨를 뿌리고 수확을 하고 건초를 산처럼 쌓아 올렸다. 이런 모든 일의 근거가 되는 것은 자연의 살아있는 달력이다. 예를 들면 귀롱나무의 꽃이 필 때라든가, 졸참나무의 싹이 틀 때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기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정확하였다. 사시나무가 꽃이 피면 당근 씨를 파종할 때가 다가왔다는 것을 가리킨다. 귀룽나무의 꽃이 러시아의 삼림을 하얗게 단장하기 시작하면 감자를 옮겨 심을 때가 시작된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농촌 사람들 사이에서는 '귀룽나무 꽃이 피면 밀을 파종 하라'라든가, '졸참나무 싹이 나오면 완두콩 울 파종하라'라든가 하는 일종의 판에 박힌 말이 되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실은 농사뿐만 아니라 과학에 있어서도 매우 유익하다.
수십, 수백의 식물들은 하루의 일기 변화를 정확하게 인간에게 전해준다. 예를 들면 양치식물의 잎이 아침부터 닫혀 있다면 따뜻한 좋은 날씨가 될 것이다. 시베리아 박새도 정확한 청우계이다. 비가 오기 전에 꽃을 열고 많은 꿀을 꺼낸다(그 향기는 수백 미터까지 날아간다). 금잔화, 아욱, 나팔꽃 등은 날씨 변화에 극히 민감하다. 하늘이 맑더라도 꽃이닫혔으면 곧 비가 내린다. 별꽃이 아침부터 닫혀 있는 때도 역시 비가 곧 내린다는 전조다. 전나무 그늘에 피는 보라색 꿩의비름도 6월에서 9월에 걸쳐서 정확하게 날씨를 예보한다. 장미색 혹은 자줏빛 꽃잎이 밤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 있다면 다음 날 아침에는 반드시 비가 내린다. 그러나 평상시처럼 밤이 되어 꽃잎이 닫힌다면 날씨가 좋을 증거다.
이처럼 청우계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은 대략 400종이나 된다. 여기에다 새, 물고기, 곤충을 합친다면 자연계에는 수천이 넘는 살아있는 예보관이 있는 셈이다. 이들 살아있는 예보관이 지닌 수수께끼를 해독하여서 수천 년 동안이나 실행되어 왔던 '살아있는 기상 관측장치'를 모방하여 그것을 일기예보에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 이것이 생물공학자에게 부여된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문화·연예·시사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지진이 일어날 조짐은? (0) | 2021.04.28 |
---|---|
지진 예측의 문제와 해답 (0) | 2021.04.27 |
살아있는 습도계 (0) | 2021.04.25 |
개구리로 일기예보를 예측 할 수 있다? (0) | 2021.04.24 |
태풍의 예습을 예보 (0) | 2021.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