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은 ‘빈지 워칭’을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몰아 보기’를 선정했다.
빈지 워칭 이란?
‘빈지 워칭’은 방송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영화의 시리즈 등을 한꺼번에 여러 편 몰아서 보는 일을 가리키는 말이다.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외국어 새말 대체어 제공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1월 29일(금)부터 31일(일)까지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으로 검토해 ‘빈지 워칭’의 대체어로 ‘몰아 보기’를 선정했다.
- 새말모임 : 어려운 외래 용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듬은 말을 제공하기 위해 국어 외에 언론, 정보통신, 통번역, 경제, 교육 등 다양한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로서,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진행됨.
이에 대해 2월 1일(월)부터 3일(수)까지 국민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문체부의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 결과, 응답자의 79.9%가 ‘빈지 워칭’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좋다고 응답했다. 또한 ‘빈지 워칭’을 ‘몰아 보기’로 바꾸는 데 응답자의 97.6%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빈지 워칭’처럼 어려운 용어 때문에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몰아 보기’와 같이 쉬운 말로 발 빠르게 다듬고 있다. 한편 선정된 말 외에도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른 우리말 대체어가 있다면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도 문체부와 국어원은 정부 부처와 언론사가 주도적으로 쉬운 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계속 홍보할 계획이다.
대상어(원어) | 다듬은 말 | 의미 |
빈지 워칭 (binge watching) |
몰아 보기 | 방송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영화의 시리즈물 따위를 한꺼번에 여러 편 몰아서 보는 일. |
쿠키 영상 (cookie 映像) |
부록 영상 | 영화나 드라마에서 본편이 끝난 후에 추가로 짧게 나오는 영상. 엔지(NG) 장면이나 후일담, 속편 예고 등이 있다. |
크라우드 워커 (crowd worker) |
대규모 참여형 노동자 | 기업의 생산, 서비스와 같은 활동에 의견을 제안하거나, 자료를 검토하는 등 수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방식에 참여자로 일하는 사람. |
※ (참고) 코로나19 관련 쉬운 우리말 대체어
어려운 외국어 | 쉬운 우리말 대체어 |
드라이브스루 진료 | 승차 진료, 승차 검진, 차량 이동형 진료(또는 검진) |
비말 | 침방울 |
진단 키트 | 진단 도구(모음), 진단 (도구) 꾸러미 |
의사 환자 | 의심 환자 |
대상어(원어) | 다듬은 말 | 의미 | 발표 |
백 브리핑 (back briefing) |
덧보고 | 공식적인 보고가 끝난 이후 비공식적으로 이어지는 보고. | 210118 |
트래블 버블 (travel bubble) |
비격리 여행 권역 | 코로나19 상황에서 두 국가 이상의 방역 우수 지역이 서로 자유로운 여행을 허용하는 것. | 210118 |
피버팅 (pivoting) |
전략 급선회 | 갑작스러운 위기가 발생하거나 외부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업무 추진 방향이나 대응 방식, 목표 등을 신속하게 전환하는 것. | 210118 |
긱 워커 (gig worker) |
초단기 노동자 | 산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임시로 단기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 계약 기간은 몇 시간 또는 며칠 정도의 아주 짧은 기간도 해당될 수 있다. | 210125 |
북 아트 (book art) |
책 꾸밈 | 창의적 요소를 더하여 책의 표지나 속지 등을 예술적으로 꾸미는 일 또는 그렇게 꾸민 책. | 210125 |
젠더 프리 캐스팅 (gender free casting) |
탈성별 배역 (선정) | 연극이나 영화에서 성에 의한 제약이나 차별을 최대한 배제하여 배역을 정하는 일. | 210125 |
디엠 (DM←direct message) |
쪽지 | 누리 소통망(SNS) 사용자들이 각각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서로 주고받는 말. | 210201 |
메타버스 (metaverse) |
확장 가상 세계 | 3차원 가상 세계에서 자신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인물이나 분신을 통해 서로 교류하고 사회, 경제, 문화적 활동을 함으로써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 또는 그러한 세계를 이르는 말. | 210201 |
필터 버블 (filter bubble) |
정보 여과 현상 | 인터넷 정보 제공자가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도를 분석해 적절한 정보를 골라서 제공함에 따라, 이용자가 선별된 정보만을 제공받게 되는 현상. 이용자는 자칫 편향된 정보나 특정 성향의 기사 등만 접하게 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 210201 |
빈지 워칭 (binge watching) |
몰아 보기 | 방송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영화의 시리즈물 따위를 한꺼번에 여러 편 몰아서 보는 일. | 210208 |
쿠키 영상 (cookie 映像) |
부록 영상 | 영화나 드라마에서 본편이 끝난 후에 추가로 짧게 나오는 영상. 엔지(NG) 장면이나 후일담, 속편 예고 등이 있다. | 210208 |
크라우드 워커 (crowd worker) |
대규모 참여형 노동자 | 기업의 생산, 서비스와 같은 활동에 의견을 제안하거나, 자료를 검토하는 등 수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방식에 참여자로 일하는 사람. | 210208 |
반응형
'문화·연예·시사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유에서 뽑아낸 단백질 사료 (0) | 2021.04.02 |
---|---|
바이오닉스와 식량문제 (0) | 2021.04.01 |
미생물의 신비로운 능력 (0) | 2021.03.31 |
인간에게 이로운 미생물 (0) | 2021.03.30 |
학원, 교습소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추가 보완 조치(2021.2.15~2.28) (0) | 2021.02.15 |